소셜임팩트랩코리아 연구대상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.
*표를 좌우로 스크롤 해주세요.
연구 대상 기관 | 연구 대상 (예시) | 연구 기대 효과 |
4섹터 사회적 경제기업 | 사회적기업 : 3,734개 | 예비사회적기업 : 2,311개 – SIL 사회성과 임팩트 평가 ※ 사회적기업 포털 www.seis.or.kr 협동조합 : 26,174 – 지역사회 기여 임팩트 평가 일반협동조합 : 20,957 | 일반협동조합연합회 : 101 | 사회적협동조합 : 5,076 | 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 : 27 | 이종협동조합연합회 : 13 ※ 협동조합 포털 www.coop.go.kr 마을기업 : 1,770개 – 지역공동체 이익활동 임팩트 평가 ※ 마을기업 운영현황 – 마을기업 통계 자활기업 : 954개 - 탈빈곤을 위한 자활사업 임팩트 평가 ※ 자활기업 운영현황 – 자활기업 통계 |
개념
• 사회적기업이란 영리기업과 비영리기업의 중간 형태로,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·서비스의 생산·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(조직)을
• 「사회적기업 육성법」에서는 사회적기업을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등의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·판매 등 영업활동을 하는 기업으로서 고용노동부 장관의 인증을 받은 기관으로 정의하고
• 영리기업이 주주나 소유자를 위해 이윤을 추구하는 것과는 달리, 사회적기업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조직의 주된 목적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음
등장배경
• 외환위기 이후 짧은 기간 동안 공공근로, 자활 등 정부재정지원에 의한 일자리가 확대되었으나, 안정적인 일자리로 연결되지 못함에 따라 정부재정지원의 효과성과 관련한 논란이 지속적으로 제기
• 2000년대에 들어 고용없는 성장의 구조화, 사회서비스 수요의 증가 등에 대한 대안으로 유럽의 사회적기업 제도 도입과 관련한 논의가 본격화, 비영리법인ㆍ단체 등 제 3섹터를 활용한 안정적인 일자리창출 및 양질의 사회서비스 제공모델로서 사회적기업 도입 논의가 구체화
의의
사회적기업 육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경제, 사회통합 구현
• 지속가능한 일자리 제공 : 취약 계층을 노동시장으로 통합 보람되고 좋은 일자리 확대
• 지역사회 활성화 : 지역사회 통합 사회적투자확충을 통한 지역경제 발전
• 사회서비스 확충 : 새로운 공공서비스 수요 충족 공공서비스 혁신
• 윤리적 시장 확산 : 기업의 사회공헌과 윤리적 경영문화 확산, 착한 소비 문화 조성
유형
사회 서비스 제공형 / 일자리 제공형 / 혼합형 / 지역 사회공헌형 / 기타 (창의·혁신)형
자료 : 고용노동부 –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: https://www.socialenterprise.or.kr/social/ente/concept.do?m_cd=E001
개념
• 재화 또는 용역의 구매 생산 판매 제공 등을 협동으로 영위함으로써 조합원들이 권익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하는 상업조직
※ 협동조합기본법 제2조 제1호
• 공동으로 소유되고 민주적으로 운영되는 사업체를 통하여 공통의 경제적, 사회적,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하는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결 성한 자율적인 조직 ※ 국제협동조합연맹(ICA)
• 이용자가 소유하고 이용자가 통제하며 이용규모를 기준으로 이익을 배분하는 사업체 ※ 미국농무성 (USDA)
사업범위 | 의결권 및 선거권 | 책임범위 | 가입·탈퇴 | 배당 |
공동의 목적을 가진 5인 이상이 모여 조직한 사업체로서 그 사업의 종류에 제한이 없음 (금융 및 보험업 제외) | 출자규모와 무관하게 1인 1표제 | 조합원은 출자자산에 한정한 유한책임 | 자유로운 가입과 탈퇴 | 전체 배당액의 100분의 50이상을 협동조합 사업 이용 실적에 따라 배당 *사회적협동조합(비영리법인) 의 경우 배당 불가능 |
1. 경제주체별 효과 | 원하는 맞춤형 물품(유기농산물 등), 서비스(의료,돌봄,보육 등)를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구매하여 편익증가 - 소비자 : 원하는 맞춤형 물품(유기농산물 등), 서비스(의료,돌봄,보육 등)를 저렴하고 안정적으로 구매하여 편익증가 - 생산자 : 소비자조합 등과 연계하여 직거래 및 사전계약재배 등을 통해 안정적이고 높은 수익보장 - 근로자 : 직원으로 구성된 협동조합 설립을 통해 고용불안정 문제 해결은 물론 임금수준 향상도 기대 |
2. 경제·사회적 효과 | 새로운 법인격 도입을 통해 경제 활력을 제고하고 사회서비스 등 기존 복지체계에 민간 참여를 확대 - 경제적 효과 : 창업활성화를 통한 일자리 확대,유통 구조 개선을 통한 물가안정, 경제위기시 경제안정 효과 기대 - 사회적 효과 : 취약계층에게 일자리 및 사회서비스를 제공하여 ‘복지 시스템’을 보완하고 ‘일을 통한 복지’에 기여 |
3. 기타 | 민주적 운영(1인 1표)에 따른 의사결정의 조합원 참여를 보장하여 구성원의 만족감, 주인의식 등 제고 |
자료 : 고용노동부 -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- www.coop.go.kr
지역주민이 각종 지역자원을 활용한 수익사업을 통해 공동의 지역문제를 해결하고, 소득 및 일자리를 창출하여 지역공동체 이익을 효과적으로 실현하기 위해 설립·운영하는 마을단위의 기업
- (지역자원) 지역에 존재하는 유·무형의 자연적·문화적·역사적 자산
- (지역문제) 전체 주민의 생활의 질 향상을 위해 필요한 사항
- (지역공동체 이익) 마을기업의 이익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전체가 얻게 되는 편익의 총합
- (마을) 지리적으로 타지역과 구분되는 경계를 가지면서 지역 내부에 상호관계나 정서적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곳
추진근거 : 마을기업 육성사업 시행지침(사업시행 : ’11년~)
설립요건 : 지역주민 5인 이상 출자한 법인으로 공동체성, 공공성, 지역성, 기업성을 갖춘 법인
운영원칙 :
○ 기업의 구성·운영에 있어 공동체를 중심으로 자발적 참여, 민주적 운영, 상호신뢰를 바탕으로 공동체 회복 및 사회통합에 이바지해야
○ 호혜와 협력을 기반으로 지역 내에서 다양한 공헌 및 상생을 위한 활동을 통해 공익적 및 공공적 가치를 창출하여야
○ 지역을 근거로 활동하는 사람들이 주도하여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지역 내의 자원과 인력 등을 활용하여 지역 활성화에 기여하여야
○ 시장 경쟁력이 있는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안정적인 매출 및 수익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확보함으로써 지역경제 활성화에 노력하여야 함
자료 : 행정안전부 – 마을기업 : https://www.mois.go.kr/frt/sub/a06/b06/village/screen.do
• 자활근로사업을 거쳐 자립하는 자활경로의 최종단계로 저소득층의 공동창업을 통한 탈빈곤을 지향하고,
• 사회적 기업의 모태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등 취약계층의 일자리 창출 및 사회서비스 제공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.
설립요건
• 2인 이상의 수급자 또는 차상위자로 구성
• 부가가치세법상 사업자 등록절차 및 타 법령 상 조합 설립절차에 따라 설립
자활기업의 현재
• 전국 5대 표준화사업(간병, 집수리, 청소, 폐자원활용, 음식물재활용) 및 외식 · 도시락, 산모도우미 등에 종사
'22년말 기준 자활기업(994개), 광역 자활기업(41개),전국자활기업(4개)
자활기업의 미래
• 자활기업 활성화 통한 저소득층 일자리 창출 및 탈빈곤 촉진
- 자활기업 신규창업 확대
- 수익형 자활기업 육성
- 자활기업의 공공성 강화를 통한 사회공헌도 증대
• 전국 및 광역단위 자활기업 육성
- 동종 또는 유사 업종의 광역, 전국 단위의 자활기업을 지속적으로 육성 · 지원하여 안정적인 저소득층 고용 및 수익 창출
• 자활기업 경영지원
- 자활기업 경영, 마케팅 지원을 위한 전문가 pool 구성
- 자활생산품 및 서비스의 공공구매, 정부재정 일자리 사업 우선 위탁 지원
- 우수자활상품 품질인증 및 유통업체 입점 지원
자료 : 보건복지부 – 자활기업 : https://www.mohw.go.kr/menu.es?mid=a10708020300
소셜임팩트랩 대표자명 : 배성기
사업자등록번호 : 209-11-32634
주소 :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-2001
Tel : 02)943-1941 Email : pami@pami.re.kr
Fax : 02-943-1948
통장번호 : 국민은행 016701-04-034210
회사소개 인재채용 고객지원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찾아오시는 길
소셜임팩트랩코리아 대표자명 : 배성기 사업자등록번호 : 209-11-32634
주소 :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-2001 Tel : 02-943-1941 Fax : 02-943-1948
Email : pami@pami.re.kr 통장번호 : 국민은행 016701-04-034210
Public Administration Management Institute Co.Ltd. All Rights Reserved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