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셜임팩트랩코리아 연구분야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합니다.
중간지원조직 사업의 임팩트 측정·평가 연구는 사회적 경제 영역에서 중간지원조직이 수행하는 역할과 그 결과에 대한 평가를 목적으로 합니다. 중간지원조직은 사회적 기업, 협동조합, 비영리 단체 등 다양한 사회적 경제 주체들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지원을 제공하는 조직을 말합니다. 이들은 자원 연결, 교육 및 컨설팅, 네트워킹, 정책 제안 등을 통해 사회적 경제의 생태계를 강화합니다.
연구 목적 :
1.서비스 효과성 평가 : 중간지원조직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실제로 사회적 경제 주체들의 성장과 안정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평가합니다.
2.네트워크 활성화 분석 : 중간지원조직을 통한 네트워킹 활동이 사회적 경제 조직 간 협력과 상호작용을 어떻게 촉진하는지 분석합니다.
3.정책 영향 평가 : 중간지원조직의 정책 제안과 옹호 활동이 정책 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합니다.
기대 효과 :
① 사회적 경제 조직의 역량 강화 : 중간지원조직의 서비스가 사회적 경제 조직의 경영, 지속 가능성, 시장 접근성 등을 개선함으로써 전반적인 역량을 강화합니다.
② 사회적 경제 생태계 발전 : 사회적 경제 조직 간의 협력 네트워크가 강화되어 건강한 생태계를 형성하고, 이를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이 증대됩니다.
③ 지속 가능한 성장 지원 :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인사이트가 중간지원조직 사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.
④ 정책 변화 촉진 : 정책 결정자들에게 제공되는 근거 기반의 데이터와 분석을 통해서 사회적 경제 관련 정책의 개선과 새로운 정책의 수립을 촉진합니다.
⑤ 투명성 및 책임성 강화 : 중간지원조직의 활동과 성과에 대한 명확한 평가를 통해서 조직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강화하고, 이해관계자들의 신뢰를 획득합니다.
이러한 임팩트 측정·평가 연구는 중간지원조직이 사회적 경제 조직에 제공하는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고, 효과적인 지원 모델을 개발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하며, 이들 조직의 사회적 임팩트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.
E | S | E | G | |
중간지원조직 | • 녹색구매지원지원센터 • 환경교육지원센터 | • 청소년지원센터 • 직업훈련지원센터 • 건강지원센터 • 사회적경제지원센터 • 도시재생/마을지원센터 • 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 • 평생교육진흥원 • 50+센터/자원봉사센터 • 다문화가정지원센터 • 사회적금융지원센터 • 문화활동지원센터 • 푸드뱅크 / 자활센터 | • 창업지원센터 • 테크노파크 / 일자리센터 | • 협치센터- 네트워크 사업 • 민관협치지원센터 |
중간지원조직의 임팩트 평가 사례를 설명하기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합니다. 중간지원조직 ’00 사회적경제 지원센터'가 지역 내 사회적 기업의 성장과 지속 가능성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고 가정
임팩트 평가 목적 :
✓ 조직 ' 00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'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자원이 지역 사회적 기업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을 측정합니다.
✓ 지원 활동이 지역 경제와 고용 창출에 기여하는 정도를 평가합니다.
✓ 조직 ' 00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'의 활동이 지역 커뮤니티의 사회적 자본 구축과 네트워킹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합니다.
임팩트 평가 과정 :
① 성과 지표 설정 : 사회적 기업의 매출 증대, 고용 창출 수, 네트워킹 활동 참여도,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 등의 지표를 설정합니다.
② 데이터 수집 : 수혜 기업들로부터 양적 데이터(매출, 고용 통계 등)와 질적 데이터(설문 조사, 인터뷰 등)를 수집합니다.
③ 평가 수행 :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, 조직 ' 00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'의 서비스가 수혜 기업들의 성장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합니다.
④ 결과 분석 및 보고 :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성공 사례와 개선이 필요한 영역을 식별하고, 관련 이해관계자와 결과를 공유합니다.
임팩트 평가의 기대 효과 :
① 서비스 개선 : 평가를 통해 ' 00 사회적경제 지원센터 ' 조직의 서비스가 가장 효과적인 부문과 개선이 필요한 부문을 파악하고, 이에 기반한 서비스 개선을 진행합니다.
② 자원 배분 최적화 : 효과적인 자원 배분을 위해 임팩트 평가 결과를 사용하여 투자의 우선 순위를 결정합니다.
③ 프로그램의 지속 가능성 평가 : 제공하는 프로그램과 활동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한 결과를 만들어내고 있는지 확인합니다.
④ 이해관계자 참여 증진 : 평가 과정과 결과를 투명하게 공유함으로써 후원자, 협력기관, 정책 결정자 등의 참여와 지원을 확보합니다.
이러한 임팩트 평가는 중간지원조직이 자신들의 사명과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있는지를 확인하고, 더 나은 결과를 위해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데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.
소셜임팩트랩 대표자명 : 배성기
사업자등록번호 : 209-11-32634
주소 :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-2001
Tel : 02)943-1941 Email : pami@pami.re.kr
Fax : 02-943-1948
통장번호 : 국민은행 016701-04-034210
회사소개 인재채용 고객지원 사이트맵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용약관 찾아오시는 길
소셜임팩트랩코리아 대표자명 : 배성기 사업자등록번호 : 209-11-32634
주소 : 서울특별시 성북구 종암로 167 101-2001 Tel : 02-943-1941 Fax : 02-943-1948
Email : pami@pami.re.kr 통장번호 : 국민은행 016701-04-034210
Public Administration Management Institute Co.Ltd. All Rights Reserved.